2023년 9월 27일 수요일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 디지털 휴먼 기술 동향 및 미래 전망

메타버스 시대를 위한 생성형 AI 기반 디지털 휴먼 기술 동향 및 미래 전망

이승욱,김기남,김태준,윤승욱,임성재,황본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간기술동향 제2109호, 2023.9.27.


https://www.itfind.or.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ZtFHKGid2eZBub39voxRrAooevir0nggr8Xzf5jw01g


요약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코로나-19로 인한 메타버스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에 놓여 있다. 최근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주요 이슈는 OpenAI의 ChatGPT가 촉발한 생성형 AI 관련된 기술이다. 연산에 특화된 GPU로 인한 계산량의 급증과 구글에서 개발한 트랜스포머 알고리즘 그리고 대량의 학습 데이터로 인한 ChatGPT의 대중화로 디지털 콘텐츠 전 영역에서 생성형 AI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애플이 최근에 발표한 Vision Pro를 시작으로, 메타버스의 재발견과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에 대한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이와 함께, 디지털 휴먼은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필수적인 콘텐츠로 각광받고 있으며, ChatGPT의 대화 기능과 결합 시, 더욱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전망된다. 본 고에서는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 핵심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디지털 휴먼 서비스와 연관된 생성형 AI 기술의 최신 동향 그리고 그에 따른 전망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2023년 9월 19일 화요일

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효시, 착용형 XR 디바이스 기술

[ET시론]포스트 스마트폰 시대 효시, 착용형 XR 디바이스 기술

신용진 한국광기술원장, 전자신문, 2023.9.19.

https://www.etnews.com/20230918000081


2023년 9월 14일 목요일

메타버스 디바이스 및 플랫폼 국제표준화 동향

메타버스 디바이스 및 플랫폼 국제표준화 동향

특허청 남옥우, 주식회사 팸텍 김지인

정보과학회지, 제41권, 제9호, pp. 46-50, 2023.9.

https://www.kiise.or.kr/admin/file/get/4afa6cc6-0cc5-477b-a822-c29aa57222d3


목차
1. 서 론
2. 메타버스의 특징
3. 메타버스 관련 국제표준화 동향 
4. IEC TC 100에서의 메타버스 표준화 활동 
5. 결 론 

XR 산업 생태계 및 디바이스 표준화 동향

XR 산업 생태계 및 디바이스 표준화 동향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최광순 손예슬

정보과학회지, 제41권, 제9호, pp. 8-12, 2023.9.

https://www.kiise.or.kr/admin/file/get/4afa6cc6-0cc5-477b-a822-c29aa57222d3


목차

1. 서론

2. XR 산업 생태계 구조 및 발전 동향

2.1 XR 산업 생태계 구조 

2.2 소프트웨어 계층 

2.2 하드웨어 계층 

2.3 서비스 플랫폼 계층 

3. XR 디바이스 표준화 동향

3.1 XR 관련 국제 표준화 기구

3.2 IEC TC 100/TA 1/WG 1 표준화 현황

4. 결 론


2023년 9월 13일 수요일

물리 역학 에너지와 혼합된 가상공간 3D 구현 방안

물리 역학 에너지와 혼합된 가상공간 3D 구현 방안

주간기술동향, Vol.2108, 2023.9.13.

https://www.itfind.or.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rKF9e5Hr_qta4ieYa3ahuTZGkcVSeRjbmFY-JNfRzuw


요약

현 시대는 새로운 콘텐츠의 적응과 진화하는 가상공간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이 높아지고 있다. 첨단 미디어 지식 기반이 확장된 현재 시점은 가상공간의 현실성이 과거에 비해 확연히 다른 시ㆍ공간 기술 형태를 갖추고 있다. 미래 환경에 부합하기 위한 진화된 혼합 기술과 시각 효과의 확대는 새로운 진화 구조로 탈바꿈되어야 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첨단 가상공간 기술 표출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실감형 제작 기술로 승패를 가늠해야 한다. 이른바 새로운 기술에 대한 다양성과 인지 영역을 좌우하는 객체의 특정 요소를 찾아 다중 기술과 물리적 에너지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역동적인 표현과 물리적 연산 방식을 극복하는 기술력과 창의성까지 응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다변화되는 가상공간의 환경 연출을 극복하는 기술력과 다양성 재현으로 가상공간 로드맵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I. 차세대 가상공간 구축 
II. 시ㆍ공간 기술과 FX 환경 구축
III. 3D 디지털 가상공간 구축
IV. 결론

2023년 9월 5일 화요일

메타버스 동향 그리고 전망

메타버스 동향 그리고 전망

우운택_한국과학기술원 교수

주간기술동향, Vol.2107, 2023.9.6.

https://www.itfind.or.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AnALICCt_l4gGMgtEURkAtdIoCGI5Bzw3YknKZ5ZPIM


목차

1. 메타버스, 다시 죽었는가?

2. 비상을 꿈꾸던 메타버스, 어디로 가고 있나?

3. 메타버스, 어떻게 활용해야 하나?

4. 제3세대 메타버스, 어떻게 준배해야 하나?

5. 제3세대 메타버스를 위한 제언



2023년 5월 2일 화요일

스마트 헬멧 기술 동향 - 국방 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스마트 헬멧 기술 동향 - 국방 안전 분야를 중심으로

박소영, 이강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간기술동향 2090호, 2023.05.03.

https://www.itfind.or.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WdsjkIhxsN0PO8HvpsJdvCn-6lDtAYaseZ8aKoyw9PY


목차

1. 서론

2. AR 스마트헬멧 기술 개요

3. 국방 분야 스마트헬멧

4. 소방 분야 스마트헬멧

5. 치안 분야 스마트헬멧

6. 기타 분야

7. 맷음말


촉각 인지 데이터의 모델링 및 활용

촉각 인지 데이터의 모델링 및 활용 유용재(한양대학교) 정보과학회지 2025년 8월호 (“확장현실과 문화기술 연구 동향” 특집), 2025. 8. https://www.kiise.or.kr/admin/file/get/60de463a-bba7-4b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