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29일 금요일

VR∙AR 헤드셋 시장 중국 업체 약진 지속

VR∙AR 헤드셋 시장 중국 업체 약진 지속 

스크랩,  '[GIP] 주간동향_4월4주_VR∙AR 헤드셋 시장 중국 업체 약진 지속', 2022.04.29.

https://www.globalict.kr/news/trend/weekly.do?menuCode=020200&knwldNo=141883

요약

메타버스(metaverse)에 대한 뜨거운 관심 속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헤드셋 시장이 향후 5년 동안 51%의 연평균성장률(CAGR)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옴.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2021년 해당 시장은 전년 대비 60.8% 성장했으며 제품 출하량은 219만 개를 기록함. IDC는 새로운 공급업체 및 개발자의 영향으로 콘텐츠가 더욱 풍부해지고 AR/VR 헤드셋의 선택의 폭이 넓어져 시장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함.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메타(Meta)의 퀘스트2(Quest 2)의 급성장 덕에 수혜를 입었지만 시장 성장의 추진력은 DPVR, 피코(Pico), 아이치이(iQiyi), 놀로(Nolo) 등과 같은 중국 브랜드에서 나왔으며, 중국 브랜드는 2021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AR∙VR 시장에서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함



2022년 4월 20일 수요일

디지털 트윈 기술의 최근 국내외 사업화 동향

디지털 트윈 기술의 최근 국내외 사업화 동향

박승창 (유오씨 수석연구위원), 주간기술동향 2022. 4. 20.

http://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320&boardParam2=8320

요약

최근 미국의 ‘페이스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Meta’ 기업의 ‘마크 저커버그’ 회장은 “언어장벽 없는 Metaverse를 만들겠다.”라고 선언했다. 메타버스(Metaverse) 기술에 비교되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을 미국의 GE(General Electric) 기업이 처음 주창했던 그 시기에는 컴퓨터 파일로 실제 사물의 쌍둥이(Twin)를 만들고 상황 시뮬레이션(모의실험)을 통해서 어떤 결과를 예측하는 수준의 기술이었는데, 현재는 메타버스 기술과 AI, AI Robot, IoT, BigData, Cloud, Blockchain, 5G 이동통신 기술들이 융/복합적으로 구현되어 새로운 시스템/서비스/콘텐츠를 제공하는 HAII(HI+AI+II) 플랫폼 사업들이 다양한 특징과 구조, 방식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원고는 디지털 트윈 기술의 최근 국내외 사업화 동향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2022년 4월 5일 화요일

메타버스 기술 및 산업 동향

메타버스 기술 및 산업 동향

이덕우, 주간기술동향. Vol.2040, 2022.04.06. 


http://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312&boardParam2=8312


요약

비대면과 온라인 생활은 메타버스 기반의 기술 및 서비스 적용 분야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미 가상현실이라는 기술을 통해 사람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의 환경을 체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1인칭 시점에서의 가상현실 체험에서 가상의 나 자신과 가상의 타인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세계 속에서의 활동으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대신하는 아바타가 활동할 수 있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단순한 상호작용 및 활동뿐 아니라 설명회, 게임, 경제활동까지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활동들을 가능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 또한 완성도가 높아졌다. 사람들은 비대면 환경에 적응하여 업무 및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있을 정도로 기술의 양적ㆍ질적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고 적용 분야 또한 나날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가상의 현실 및 환경에서의 경험을 한다는 측면에서 메타버스와 가상현실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가상현실이 1인칭 시점에서의 경험이 주된 특징인 반면, 메타버스는 다양한 사람들의 시점을 기반으로 서로 간에 상호작용이 있다는 것이 주된 특징이라는 점에서 이 두 개의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본 고에서는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주요 기술들을 가상현실과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알아보고 추진 현황 및 적용 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기사] 일상 속으로 성큼 다가온 스마트 글라스

[기사] 일상 속으로 성큼 다가온 스마트 글라스


[테크리포트] 성큼 다가온 'AR글라스'…손대면 닿을 듯 '비대면 필수템'

전자신문, 2020.06.16.

https://m.etnews.com/20200615000105


1년에 4000만개 팔리는 스마트 글라스 시대 온다

전자신문, 2022.04.06.

https://m.etnews.com/20220405000123


2022년 3월 30일 수요일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메타버스 공간에서의 손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술 동향

김애리(서울대학교 인지과학연구소 연구원), 주간기술동향, Vol.2039, 2022. 3. 30.

http://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308&boardParam2=8308

요약

현실에서는 일반적으로 손을 사용하여 사물을 조작하거나 환경 및 대상과 상호작용을 한다. 하지만 메타버스에 서는 대부분의 경우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등을 사용하여 아바타를 움직이거나 사물을 조작한다. 이런 원인으로 그 동안 손으로 직접 조작이 가능한 핸드 트래킹 기술 개발이 꾸준히 지속되어 왔다. 특히, 최근 메타버스 산업의 확대로 경제성, 효용성, 기술적 안정성을 포함하는 핸드 트래킹 기술 및 디바이스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메타(구 페이스북), 구글, 애플 등과 같은 글로벌 IT 기업들이 핸드 트래킹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손과 손가락 움직임의 자유도가 높은 핸드 트래킹 기술은 상호작용성 및 체화성(embodiment)을 높혀 메타버스의 실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술이다. 이런 배경들과 연결하여 손 기반 상호작용과 연관된 인지 요인들(체화성, 존재감)과 핸드 트래킹의 동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2022년 3월 22일 화요일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기술 개발 동향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기술 개발 동향

이광순, 서정일,

주간기술동향 2022.3.23.

http://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301&boardParam2=8301


최근에는 CG 기반의 게임이나 비현실적 공간으로 표현되는 메타버스에 현실 공간을 표현

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실사 기반으로 현실감과 몰입감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이머시브 비디오 기술의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국제 표준화 기구인 SC29 WG4에서 표준화한 MIV(MPEG Immersive Video) 표준[5]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메타버스 기술 동향 및 산업 분야별 적용 사례

 메타버스 기술 동향 및 산업 분야별 적용 사례 

박영섭,

주간기술동향 2022.3.23.

http://www.itfind.or.kr/publication/regular/weeklytrend/weekly/view.do?boardParam1=8300&boardParam2=8300

요약

메타버스는 현실 세계와 동일한 가상세계를 연결하여 디지털 세계에서 다양한 직업군을 가지는 사용자가 제조ㆍ금융, 물류, 유통, 사회·문화, 국방 등 모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메타버스의 핵심요소 기술은 가상세계, 증강현실, 일상의 디지털화, 그리고 거울 세계로 구분할 수 있다. 가상세계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실제 사용자가 접하는 모든 활동이 연결된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있는 물리적 객체에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디지털 데이터를 AR 디바이스를 통해서 화면 상에 보여준다. 일상의 디지털화는 사용자 간 현실 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순간을 디지털 정보로 캡처하고 동시에 이를 서버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거울 세계는 현실 세계를 가능한 한 사실적으로 표현된 디지털 세계를 뜻한다. 본 고에서는 메타버스 핵심요소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 시뮬레이션, 유통, 교육, 소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메타버스 산업을 도입하려는 산업 분야별 적용 사례를 설명한다.




촉각 인지 데이터의 모델링 및 활용

촉각 인지 데이터의 모델링 및 활용 유용재(한양대학교) 정보과학회지 2025년 8월호 (“확장현실과 문화기술 연구 동향” 특집), 2025. 8. https://www.kiise.or.kr/admin/file/get/60de463a-bba7-4b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