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트윈 활용 방향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트윈 활용 방향

강성일_신용보증기금 부부장, 김문구_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주간기술동향 2200호. 2025.11.26.

https://www.itfind.or.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rymF3HBJV7KPpvqKdXUvGd7IdoDWW_qGxWbbdD8N9nA


요약

현대 도시는 급격한 도시화, 기후변화, 인프라 노후화 등 복합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트윈은 도시의 이슈를 해결할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고는 디지털트윈의 활용 가능성을 도시의 물리적 시스템ㆍ인프라 최적화(도시계획, 시설ㆍ교통관리 등), 지속 가능성과 회복력 강화(환경, 자원순환, 재난대응 등), 시민 중심 서비스 혁신(공공 서비스, 의료ㆍ복지, 경제활성화 등)의 범주로 구분하여 10개 세부 분야별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기대효과와 도전 과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아울러 성공적 확산을 위해 기술적 기반 강화(실시간 데이터 처리, 표준화, AI 활용, 메타버스ㆍ블록체인 연계), 제도적 정비(개인정보보호, 거버넌스 구축, 투자 지속성 확보), 사회적 수용성 강화(시민참여 확대, 적용지역 확대)를 제시하였다.


서울시 S-Map

https://smap.seoul.go.kr


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삼성 '갤럭시 XR' 출시

삼성 '갤럭시 XR' 출시


삼성 '갤럭시 XR', 한·미 동시 출시...출고가 269만원

ZDNet 기사, 2025.10.22.

https://zdnet.co.kr/view/?no=20251022114452


삼성 '갤럭시 XR', 화질·무게·가성비로 애플 비전 프로 앞질러

연합뉴스 기사, 2025.10.22.

https://www.yna.co.kr/view/AKR20251022090600017


삼성 Galaxy XR 홈페이

https://www.samsung.com/sec/xr/galaxy-xr/galaxy-xr/


2025년 9월 23일 화요일

데이터 기반 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AI 기술 동향

데이터 기반 문화유산 관리를 위한 AI 기술 동향

이상윤(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주간기술동향, Vol.2192, 2025.9.24.

 

https://www.itfind.or.kr/streamdocs/view/sd;streamdocsId=F7C6VqbkdoVF3br_cLkipXjsrkC2v67_VLlwOdIjS9I


요약

본 고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이 문화유산 관리의 전 과정에 도입되어 보존ㆍ복원ㆍ활용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음을 다룬다. AI는 손상 진단의 정밀화, 대규모 데이터 처리, 열화 예측, 실감형 체험 제공, 새로운 가치 창출 등 핵심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멀티모달ㆍ생성형 AI, 디지털트윈,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을 결합하여 미래 지향적 관리 체계를 제시하고, 데이터 품질ㆍ표준화, 데이터 부족, 거버넌스, 윤리ㆍ법적 쟁점 등 해결 과제를 논의한다. 나아가 국제 협력과 정책적 지원을 통해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관리와 글로벌 표준화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AI 기반 접근은 문화유산을 살아 있는 자산으로 재창조하여 미래 세대의 향유 경험을 확장시킬 것이다.


2025년 8월 14일 목요일

촉각 인지 데이터의 모델링 및 활용

촉각 인지 데이터의 모델링 및 활용

유용재(한양대학교)

정보과학회지 2025년 8월호 (“확장현실과 문화기술 연구 동향” 특집), 2025. 8.

https://www.kiise.or.kr/admin/file/get/60de463a-bba7-4b30-8392-6ab4aecfe3e2


요약

촉각 인지 데이터를 모델링함으로써 다양한 응용 사례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가상, 증강 및 혼합 현실(MR) 등 확장 현실(XR) 기술과 결합하여 몰입감과 현실감을 증대할 수 있는 중요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4,5]. 또, 다양한 촉각 기반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에 적용되어 더 잘 어울리는 고품질의 인터랙션을 생성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6]. 본 기고문에서는 이러한 상호작용과 XR 등에 활용 가능한 각종 촉각 인지 모델과 그 사례, 그리고 이를 학습하여 AI로 하여금 인간의 촉각 인지를 예측함으로써 원하는 감각의 전달을 목표로 한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기고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2, 3장에서는 관련 연구 동향 중 촉각 인지 데이터의 수집, 그리고 학습과 관련된 동향 및 사례를 다루며, 제 4장에서는 이러한 인지 데이터가 적용된 모델이 활용된 응용연구들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XR 환경에서의 BCI 융합 기술 동향

XR 환경에서의 BCI 융합 기술 동향

오한길(한동대학교), 안민규(한동대학교)

정보과학회지 2025년 8월호 (“확장현실과 문화기술 연구 동향” 특집), 2025. 8.

https://www.kiise.or.kr/admin/file/get/60de463a-bba7-4b30-8392-6ab4aecfe3e2


요약

XR-BCI 기술은 인간의 신경생리 신호와 몰입형 디지털 환경을 통합함으로써, 기존의 인간-기계 상호작용(Human-Machine Interaction, HMI)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와 실험 결과를 통해, 본 기술은 의료 재활, 주의력 훈련, 감정 조절, 감성 게임, 장애 보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보이며, 차세대 인터페이스로서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다.

향후 XR-BCI 기술은, 신호 품질 향상, 명령 다양성과 정보 전달률 증가, 사용자 맞춤형 시스템 설계, 윤리적-법적 기준 정립, 플랫폼 표준화 등을 통해 더 실용적이고 접근 가능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웨어러블 기기의 소형화, 하이브리드 생체신호 융합, 적응형 콘텐츠 생성 기술과 같은 흐름과 결합될 경우, XR-BCI는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적용 가능한 핵심 기술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XR과 BCI의 융합은 단순한 기술적 결합을 넘어, 인간의 뇌와 디지털 세계 간의 상호작용 방식을 재정의하는 진화적 패러다임이며, 미래 사회에서의 몰입적이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시대를 여는 중심축으로 기능할 것이다.


 

Augmented Reality in Surgery: Recent Trends, Human Factors, and Case Studies

Augmented Reality in Surgery: Recent Trends, Human Factors, and Case Studies

Soojeong Yoo (University of Sydney)

정보과학회지 2025년 8월호 (“확장현실과 문화기술 연구 동향” 특집), 2025. 8.


요약

This paper systematically explores recent AR trends in surgery with a clear emphasis on human factors. Two comprehensive case studies provide practical illustrations of these concepts, highlighting both successes and ongoing challenges within laparoscopic and liver surgery contexts.

We conclude by outlining essential future research directions necessary to overcome these HF challenges, emphasising the importance of adaptive, user-centred AR systems that seamlessly integrate into diverse clinical practices.



AI-XR 통합형 키네틱 미디어를 활용한 문화 기술 동향

AI-XR 통합형 키네틱 미디어를 활용한 문화 기술 동향

방준성((주)와이매틱스), 이상민(경희대학교)

정보과학회지 2025년 8월호 (“확장현실과 문화기술 연구 동향” 특집), 2025. 8.


 요약

본 고에서는 문화 기술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는 AI-XR 통합형 키네틱 미디어의 개념과 기술구조를 살펴보고 실제 적용 예시를 바탕으로 기술 발전 양상을 조망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문화 기술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XR 기술의 특징과 대표적 적용 사례를 소개하며, 디지털 휴먼, 실시간 인터랙션 기술, 공간 컴퓨팅, 생성형 AI 등이 XR과 융합되어 문화 예술 영역에서 관객의 역할과 경험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3장에서는 AI 통합형 키네틱 미디어의 기술적 정의와 구조를 제시하고, 이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 요소들과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해당 기술이 문화 콘텐츠에 미치는 영향과 가능성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AI-XR 통합형 키네틱 미디어의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하고, 문화 기술 연구⋅개발 및 산업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시사점과 윤리적 이슈에 대해 논의한다.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트윈 활용 방향

도시문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트윈 활용 방향 강성일_신용보증기금 부부장, 김문구_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주간기술동향 2200호. 2025.11.26. https://www.itfind.or.kr/streamdocs/view/sd;streamdo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