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 동향
황미녕, 주간기술동향 2021. 11. 17.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 동향
황미녕, 주간기술동향 2021. 11. 17.
인공지능(AI) 콘텐츠: 개념과 사례, 정책적 현안 분석
https://www.kocca.kr/cop/bbs/view/B0000141/1845946.do
목차
Ⅰ. 인공지능의 개념
1. 인공지능의 개념 및 학습방식 2
Ⅱ. 인공지능 콘텐츠의 범주 및 사례
1. 인공지능 콘텐츠의 범주 4
2. AI 콘텐츠 창작 및 활용 사례 5
Ⅲ. 산업적 현안과 정책적 쟁점
1. 저작권 11
2. 일자리 17
3. 불공정경쟁 19
Ⅳ. 사회문화적 현안과 정책적 쟁점
1. 인권 침해 20
2. 가치관 왜곡 및 편향성 24
Ⅴ. 결론 및 제언
1. 인공지능과 콘텐츠산업 발달의 연계성 26
2. 인공지능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 26
요약
요약문
■ 인공지능 인간의 (Artificial Intelligence): 두뇌가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발견한 뒤 사물을 구분하여 정보처리 하는 방식을 모방하여 컴퓨터가 스스로 인지추론 판단을 하게 하는 알고리즘
- 인공지능의 딥러닝 학습방식 중 비지도학습에 해당하는 GAN 모델은 콘텐츠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으로, , 적은 데이터 짧은 학습기간으로도 빠르게 이미지·음성을 합성하거나 변조 가능
■ 인공지능 콘텐츠는 크게 인공지능이 창작한 콘텐츠인지, 인간이 콘텐츠를 기획-제작-유통 -소비하는 과정 등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콘텐츠인지에 따라 ▲인공지능이 창작한 콘텐츠, ▲인공지능과 인간이 협업한 콘텐츠, ▲인간이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창작한 콘텐츠 등으로 분류 가능
- 인공지능은 글, 그림, 음악, 영상 등 다양한 분야의 콘텐츠 창작에 참여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특정 인물을 사실에 가깝게 복원하거나, 인공지능과 대화를 하고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를 받는 것 등이 가능해짐
■ 인공지능과 관련한 산업적 현안 및 정책적 쟁점으로는 ▲저작권 법제도 정비, ▲일자리 문제 불공정경쟁 , ▲ 등이 있음
- (저작권) 인공지능 창작물의 저작물 해당여부, 저작권자 판단, 저작권 보호의 필요성, 저작권 보호방식 등의 논의가 있으며, 새로운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행법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산업적 분쟁을 대비하기 위한 법 제도 정비 필요
- (일자리) 사회안전망 구축이나 재교육 지원 등 인공지능으로 인한 실업으로부터 기존의 노동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인공지능 관련 산업이 발전할 토대를 만들고 미래 일자리를 선점할 필요
- (불공정경쟁) 검색이나 추천 알고리즘을 통해 경쟁업체를 배제하는 불공정행위에 대비하여 검색 결과나 노출 순위 기준 등을 투명하게 알리도록 해야 함
■ 인공지능과 관련한 사회문화적 현안 및 정책적 쟁점으로는 ▲인권 침해, ▲가치관 왜곡 및 편향성 등이 있음
- (인권 침해) 딥페이크로 인한 명예훼손 및 초상권 침해, AI 기기를 통한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유출 등 인권 침해와 가짜 뉴스, 사기 등 범죄 발생 가능성
- (가치관 왜곡 및 편향성) 인공지능 콘텐츠·서비스가 대중의 인기를 얻으면서 인공지능의 사회문화적 파급력이 높아짐에 따라 인공지능의 윤리규범 논의가 활성화되고, 인공지능의 가치관 왜곡 및 편향 가능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
■ 콘텐츠산업의 미래 생태계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인공지능 등 차세대 기술 관련 콘텐츠가 산업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지원 및 법제도 정비 등을 추진하고,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급격한 사회변화가 야기할 사회문화적 현안에 미리 대비하는 정책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임
끝
비대면이 일상으로, 메타버스(Metaverse)의 부상과 새로운 기회
정도범, KISTI ISSUE BRIEF 제36호, 2021.11.11.
https://www.kisti.re.kr/promote/post/issuebrief/5395?t=1636937094543
요약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 및 XR(eXtended Reality)로 대표되는 실감 기술, ICT의 급진적인 발전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메타버스(Metaverse)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 메타버스는 실감 기술이 매개체가 되어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가 상호작용하는 융합된 세상으로, 상상으로만 가능했던 일들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메타버스는 이미 30년 전에 언급된 개념으로 전혀 새로운 아이디어는 아니지만, 과거 메타버스 유사 서비스들이 실패했던 이유인 기술과 개념 간의 갭(gap)이 상당 부분 해소되어가면서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게임에서 출발한 메타버스 서비스는 XR 기술과 산업 전 분야와의 융합 가능성을 높이고 있어 사회 전반에 걸쳐 막대한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낙관적인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전문가들은 저마다 다양한 관점에서 메타버스를 정의하고 있으며 다양한 견해만큼이나 관련 기술 생태계 또한 합의된 틀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메타버스의 기술개발 및 활용의 초기 단계인 만큼 지속적인 성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관련 기술에 대한 분석은 물론 선제적인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선결되어야 할 문제들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전략 수립을 위한 고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메타버스 서비스 동향
이지혜, 주간기술동향 제2018호, 2021.10.13.
요약
I. 메타버스의 부상
1. 시장 동향
2. 메타버스 정의
3. 메타버스 인기 요인
II. 주요 메타버스 서비스
1. 게임계의 유튜브: 로블록스
2. 가상현실 SNS: 제페토
3. 디지털 레고: 마인크래프트
4. 디지털 힐링: 모여봐요 동물의 숲
III. 메타버스 미래
1. 메타버스와 기술
2. 메타버스의 가치
Visual SLAM 기술개발 동향
김정호, 주간기술동향 제2018호, 2021.10.13.
요약
카메라를 이용하여 환경에 대한 3차원 지도를 생성하고,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자율주행차를 위한 차량 위치 및 환경 인지, AR/VR 디바이스를 활용한 가상 정보 증강, 의료 내시경의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본 고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환경 복원 기술과 카메라 자세 변화를 추정하는 Visual SLAM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여 3차원 복원 및 측위를 수행하던 기존의 기하학적 방식과 최근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딥러닝을 활용한 방식들을 소개한다. 또한, 기하학적 방법과 딥러닝 기반의 방법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Visual SLAM 기술들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SLAM과 관련된 국내외 시장 동향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목차
I. 서론
II. 기하학적 Visual SLAM 방법론
III. 딥러닝 기반 Visual SLAM 방법론
1. 오도메트리 추정
2. 매핑
IV. 하이브리드 Visual SLAM 방법론
V. Visual SLAM 기술 시장 동향
VI. 결론
프랑스 VR헤드셋 시장 동향
kotra 해외시장뉴스, 2021-09-30 프랑스 파리무역관 곽미성
메타버스 관련 국내외 금융업의 현황과 이슈
정지수, 자본시장포커스, 2021-19호, 2021.09.27.
https://www.kcmi.re.kr/publications/pub_detail_view?syear=2021&zcd=002001016&zno=1619&cno=5778
요약
-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일상생활에 많은 제약이 생기면서 정교한 기술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메타버스(확장가상세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메타버스 플랫폼과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요 기업의 성장세가 이어졌으며, 투자 및 기술개발이 늘어나고 금융상품이 출시되는 등 관련 시장이 확대됨
- 금융업의 경우 메타버스를 통해 정보의 전달력과 고객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실제 VR, AR 등 메타버스와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회사가 늘고 있음
- 국가적 차원에서도 다양한 활동 및 지원이 이뤄지는 가운데 메타버스 시장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개인정보 보호 이슈와 결제 인프라 구축 등은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
촉각 인지 데이터의 모델링 및 활용 유용재(한양대학교) 정보과학회지 2025년 8월호 (“확장현실과 문화기술 연구 동향” 특집), 2025. 8. https://www.kiise.or.kr/admin/file/get/60de463a-bba7-4b30-...